사회&문화&관광

국민연금 개혁안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도대체 어떻게 바뀌는데?

날아라키위 2024. 9. 8. 08:25

정부가 27년 만에 국민연금 개혁안을 발표했습니다. 그대로 두면, 국민연금 기금 고갈이 빠르게 이뤄지는 만큼 더 이상 그냥 둘 수 없었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입니다. 어떠한 부분들이 변경이 되고, 나에게는 어떠한 변화가 있게 되는지 지금부터 국민연금 개혁안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국민연금 개혁안 

      1) 국민연금 개혁안 내용

      2) 국민연금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변경 

           국민연금 그래서 얼마를 더 내는 데?

           국민연금 세대별 보험료율 인상 

      3) 국민연금 나중에 얼마를 더 받는데?

      4)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5) 국민연금 예상 고갈시기 

2. 마무리 

 

국민연금 개혁안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국민연금 개혁안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국민연금 개혁안

국민연금 개혁안의 핵심은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이 어떻게 변했는 지를 살펴보셔야 합니다. 보험료율은 본인의 급여에서 국민연금으로 납부하는 %를 의미하고,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에 가입한 총 기간 동안의 평균 소득에서 내가 나중에 받게 되는 연금(금액)을 뜻합니다. 

 

  • 보험료율 : 본인 급여의 몇 % 
  • 소득대체율 : (국민연금 가입한 기간 동안) 평균 소득의 몇 %

이 두 부분이 중요한 이유는 국민연금 개혁안이 실행되면, 당장 내 월급에서 얼마를 더 떼어가는 지, 나중에 연금을 받을 시기에는 얼마나 받게 되는지가 바로 관건이기 때문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피부로 와닿는 것은 당장 내 월급에서 얼마를 더 떼어가는지(보험료율)이 될 것 같습니다. 

 

1) 국민연금 개혁안 핵심 내용

  •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인상 
  • 자동조정장치 도입 (인구 변화, 경제 상황 따라)
  • 국민연금 납부 기간을 현행 59세 → 64세 연장 
  • 기초연금 월 33만원 → 월 40만원 (2026년부터 단계적 확대)
  •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 

 

 

 

특히, 유명무실한 현행 정년은 59세로 정해져 있는데, 정부에서는 국민연금 납부 기간을 64세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즉, 일이 없어도 그 기간만큼 납부를 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회사 정년 확대 문제라는 또 다른 사회적 이슈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앞으로도 더 지켜봐야 할 부분 같습니다. 

 

 

2) 국민연금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변경 

정부의 국민연금 개혁안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은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됩니다. 

구분 기존 개혁안
보험료율 9% 13%
소득대체율 40% 42%

 

보험료율이 기존 9%에서 13%로 변경이 됩니다. 즉, 앞으로는 급여에서 더 많이 떼어가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나중에 받게 될 소득대체율이 40%에서 42%로 인상되었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이번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더 내고, 더 많이 받아가는 구조'라고 설명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떼어가는 것은 4%인데, 받게 되는 금액의 인상은 2%입니다. 그냥 산술적으로 생각을 해도 논란이 있는 설명인 것입니다. 

 

 

[국민연금 그래서 얼마를 더 내는 데?]

우리나라 근로 소득자 평균 급여가 약 286만원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얼마를 내야 하는지에 대해서 산술적으로 계산해 보았습니다. 지역 가입자도 근로 소득자 평균 급여로 예들 들어 정리한 것이니 참고만 하셨음 합니다. 

구분 현행(9%) 개혁(13%)
지역 가입자(100%) 25만 7400원  37만 1800원 
근로 소득자(50%) 12만 8700원  18만 5900원 (+57200원)

 

아시다시피 근로 소득자의 경우 납부해야 하는 국민연금을 회사와 50% 나눠서 내고 있습니다. 이 경우 현행 12만 8700원을 내고 있는데, 개혁안 대로 하면 18만 5900원을 납부하게 되어, 즉 월 57200원을 더 내야 하는 것입니다. 

 

위의 얘기만 들으신다면, 이제 월 57200원을 더 내야 하는 거야? 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정부에서는 이 금액을 한 번에 올리지는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바로 세대별로 차등을 두어 보험료율을 13%까지 올리겠다는 것입니다. 젊은 사람들의 경우는 아직도 국민연금을 낼 시간이 많이 남아 있으니, 천천히 보험료율을 올리고, 상대적으로 이제 곧 연금을 받을 시기가 가까운 50대의 경우는 국민연금을 낼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으므로 보험료율을 빨리 올리겠다는 것입니다. 

 

 

[국민연금 세대별 보험료율] 

세대별/요소 인상폭 걸리는 시간 최종 13% 될 때
20대 0.25% 16년 2040년
30대 0.33% 12년 2036년
40대 0.5% 8년 2032년 
50대 1% 4년 2028년

 

50대는 가장 먼저 개혁안의 보험료율 13%에 도착합니다. 바로 2028년에 말입니다. 빨리 도착하는 만큼 추가 월 보험금 금액도 제일 큽니다. 반면에 20대는 개혁안 보험료율 13%에 2040년 즉 16년 뒤에 도달합니다. 

 

그래서 이번 개혁안에서 대해서 50대의 불만이 많은 것이 바로 이 점입니다. 4년 만에 13%에 도달하기 때문에 타 세대별에 비해서 보험료율이 올라가는 속도가 빠르고 그로 인해 더 많은 국민연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3)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나중에 얼마를 더 받는데?

나중에 받게 되는 돈이 바로 소득대체율입니다. 이를 현행 40%에서 42%로 인상할 계획입니다. 즉, 국민연금 총 가입기간의 평균 소득에서의 42%를 돌려주겠다는 얘기입니다. 

 

 

4)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도입 

정부는 국민연금에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겠다고 얘기했습니다. 정부의 개혁안대로 하더라도 국민연금 기금의 고갈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늦출 뿐입니다. 여기에 고갈 시기를 더 늦출 방안으로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겠다는 얘기입니다. 

 

 

국민연금은 해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해서 지급을 합니다. 예를 들어 연금으로 올해 100만원을 받고 있는데, 내년 물가상승률이 3%가 된다면, 현재 받고 있는 연금의 3%를 올려서 지급을 하고 있었습니다. 물가가 올라가는 만큼 그 정도는 올려주겠다는 것입니다. 

 

현행 : 국민연금 = 지급금액 + (지급금액 * 물가상승률)

 

자동조정장치는 지급되는 국민연금을 국민연금 가입자 수 변경(감소), 기대 수명 인상 등으로 생기는 인구 변화 및 경제 상황에 따라 매년 조정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됩니다. 

 

개혁안 : 국민연금 = {지급금액 + (지급금액 * 물가상승률)} - 국민연금 가입자 수 감소 변화 - 기대 수명 인상 등 

 

결국 현행 보다는 받게 되는 국민연금 금액이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입니다. 

 

5) 국민연금 예상 고갈시기 

현행 국민연금 제도를 유지할 경우 우리나라 국민연금 고갈 시기는 2056년입니다. 올해 기준으로 32년이 남았습니다. 몇십 년 전부터 이러한 위기를 알고는 있었지만, 워낙 사회적 이슈가 큰 만큼 연기에 연기가 되고 있었습니다. 더 이상 늦추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에 정부에서 이러한 개혁안을 발표하게 된 것입니다. 

 

구분 현행 개혁안 자동조정장치(최대)
고갈시기 2056년 2072년 2088년

 

정부의 개혁안대로 할 경우 고갈시기는 2072년으로 늦춰집니다. 그리고 말씀드렸던 자동조정장치를 통해 조정을 할 경우 최대 2088년까지 고갈시기를 늦출 수 있게 됩니다. 

 

 

마무리

오늘은 정부의 국민연금 개혁안,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고갈시기 까지 앞으로 어떻게 변경이 될 지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앞으로 국민연금은 이런 식으로 변경이 될 것이기 때문에 본인 노후 생활을 위한 개인연금 계획을 잡으시는 데 꼭 알고 계셔야 할 것 같아 한번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