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경제 122

만 35세~39세, DSR 장래 소득 계산해 봤자 소용없다.

새롭게 시작되는 DSR 3단계 적용과 더 많은 대출을 받기 위하여 정부가 내놓은 장래 소득 정책이 실제로 내집 마련을 가장 많이 하는 연령인 만35세부터 39세사이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가 들립니다. 그것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DSR 3단계 적용 시작 2. 정부가 도입한 '장래 소득' 개념 1) 20~39세의 장래 소득 추정 2) 주택 담보 대출 만기 40년 사용시 마찬가지로 큰 이득이 없는 20대 DSR 3단계 적용 시작 2022년 7월 1일부터 총 대출금액이 1억원 이상이 되면 DSR 40% 적용을 받는 DSR 3단계가 적용됩니다. 예전에 저의 포스팅에서 얘기했었지만 LTV를 아무리 상향 조정 시켜 준다고 해도 DSR 40%가 완화하지 않는다면 중간 소득 급여자 이하의..

비즈니스경제 2022.06.28

GS25 편의점 커피가 투썸, 스벅 이겼다.

오늘은 전문 바리스타들이 진행한 커피 맛 블라인드 평가에서 GS25 편의점에서 파는 '카페 25'가 커피 전문전 투썸과 스벅을 이기고 당당히 1위에 올랐다는 소식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GS25 편의점 커피가 투썸, 스벅 이겼다. 1. 편의점 GS25커피, '카페 25' 사실 이 기사를 보고 저는 조금 놀랐습니다. 첫 번째는 GS25에서 원두 커피를 팔고 있다는 사실과 두 번째는 편의점 커피가 커피 전문점에서 파는 커피의 맛을 이긴다는 것이었습니다. GS25는 2015년부터 원두커피 브랜드 '카페 25'를 출시하면서 으레 편의점 커피라고 생각하면 저렴하고 평범한 커피를 파는 곳이라는 고정관념을 탈피하기 위해 편의점 커피의 고급화를 추진하였습니다. 그 아이디어는 당시 GS리테일의 허 부회장으로부터 ..

비즈니스경제 2022.06.27

전셋값 5% 이내 올린 상생 임대인 혜택 및 임차인 지원 대책

전세값 5% 이내 올린 상생 임대인 혜택 및 정부의 임차인 지원 대책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는 전월세 시장 안정화를 위하여 자발적인 상생 임대인을 만들기 위하여 그들에 대한 혜택과 갱신 계약이 만료되어 떠나야 하는 임차인에 대한 지원 대책을 발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자세히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셋값 5% 이내 올린 상생 임대인 혜택 및 임차인 지원 대책 1. 상생 임대인은 무엇인가요? '상생 임대인' 이란 신규 및 갱신 전월세 계약을 체결할 시에 직전 계약 대비하여 5% 이내로 전월세를 올리는 임대인을 부르는 말입니다. 보증금과 월세를 각각 5% 이내로 올리는 것도 적용이 되며 당연히 보증금, 월세를 동결하거나 인하 하는 임대인 역시 상생 임대인으로 부를 수 있습니다. 잘 알다시피..

비즈니스경제 2022.06.24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LTV 80% 상향, DSR 3단계 유지

오늘은 새 정부의 2가지 굵직한 부동산 정책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는 LTV(주택담보부채비율)이며, 또 다른 하나는 DSR(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입니다. 주요 내용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에 한하여 LTV 80%까지 상향 조정한 것과 현재 유지되고 있는 DSR 2단계가 다음 달 7월부터 3단계로 변경한다는 내용입니다.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LTV 80% 상향, DSR 3단계 유지 1.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LTV 80% 상향 조정 새 정부 정책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들에 한해 LTV(주택담보부채비율)을 80%까지 상향 조정한 것입니다. 특히 좋은 점은 지역이나, 주택 가격, 소득에 상관이 없다는 점입니다. 현행 LTV는 지역, 주택 가격 그리고 소득에 따..

비즈니스경제 2022.06.23

분양가 상한제 개편안 분양가 최대 4% 인상 효과

오늘은 새 정부가 새롭게 손질을 한 분양가 상한제 개편안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떠한 점들이 변경이 되었는 지를 알아보고 이로 인해 새로 지어질 아파트 분양가는 얼마나 달라질 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개편안 분양가 최대 4% 인상 효과 1. 기존 분양가 상한제를 바라보는 입장 그동안 시행된 분양가 상한제에 대하여 사업시행사(사업주체)는 불만이 많았습니다.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분양가 산정이 주된 이유였습니다. 새 정부에서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낮은 분양가가 사업주체로 하여금 더 많은 공급을 하지 않는 원인으로 보고 현실적인 분양가를 산정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로 개편안을 발표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아파트가 다 지어지면 상대적으로 인근 아파트보다 가격이 낮아..

비즈니스경제 2022.06.22

생애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200만원 면제

정부에서 발표한 부동산 6.21 대책과 관련하여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 시 취득세 200만 원을 면제해 주겠다는 내용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 그대로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할 시 소득이나 주택 가격의 조건에 구애 없이 모두에게 200만 원을 면제할 계획이라 기존의 취득세 정책에 비해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시는 분들에게는 희망적인 소식일 것 같습니다.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시 취득세 정부는 '임대차 시장 안정 방안 및 3분기 추진 부동산 정상화 과제'를 발표하면서 제일 먼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의 취득세를 소득이나 주택의 가격의 제한 없이 누구나 다 200만 원 한도로 면제해 주기를 했습니다. 기존 취득세 정책과 변경 6.21 취득세 정책 차이점 1) 기존의 취득세 정책 100%감면대상 : ..

비즈니스경제 2022.06.21

유류세 인하폭 법정최대치 37%까지 간다

유가 고공행진에 따라 정부에서 유류세 인하폭을 법정 최대치 37%까지 가겠다는 내용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폭등한 유가 때문에 휘발유값과 경유값이 천정부지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유류세 인하폭 최대 37%가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폭등하는 휘발유, 경유 가격 1) 휘발유 가격 2. 유류세 1) 유류세 구성 비용 2) 유류세 인하폭의 효과 폭등하는 휘발유, 경유 가격 올해 초만 하더라도 휘발유, 경유 가격이 이렇지 않았습니다. 2022년 1월 1일 국내 휘발유 가격은 L당 1,623.79원, 경유 가격은 L당 1,442.42원이었습니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지난 2월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유럽 연합에서 러시아산 원유 제재를 시작하면서..

비즈니스경제 2022.06.19

LG엔솔 4680 배터리 세계 최초 양산 계획

LG엔솔에서 테슬라용 4680 원통형 배터리를 세계 최초 양산한다는 내용입니다 LG엔솔에서 양산하는 4680 원통형 배터리는 어떤 것이며 국내 어디에서 생산이 되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더불어 세계 시장에서의 LG엔솔의 배터리 기술력은 어떤지도 살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LG엔솔 4680 배터리 공장 신설 1) LG엔솔 4680 원통형 배터리 2. LG엔솔의 배터리 경쟁 기업 LG엔솔 4680 배터리 공장 신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LG에너지 설루션이 게임 체인져로 불리는 4680 원통형 배터리 라인을 위하여 5,800억 원을 투자하여 충북 오창에 2 공장을 짓기로 발표했습니다. 특히 4680 원통형 배터리는 주로 테슬라의 납품용으로 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LG엔솔과 테슬..

비즈니스경제 2022.06.17

미 연준 자이언트스텝 금리 인상 전망

오늘은 미국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미 연준에서 내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수준을 자이언트 스텝으로 전망하고 있어 그것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미 연준 자이언트스텝 금리 인상 전망 1. 자이언트스텝 자이언트 스텝이란 미국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미 연준에서 한 번에 0.75%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동안 물가를 잡기 위해 한번에 0.25%씩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것에 비하면 엄청나게 높은 수준의 금리 인상입니다. 미 연준에서 조차 기존에는 0.5% 정도의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혔었지만, 지난주 금요일에 발표된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가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오게 되자 이 같은 고강도 긴축 금리 정책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참고로, 지난 5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

비즈니스경제 2022.06.15

40대 집값 상승으로 자산 1억 증가

오늘은 문재인 정부 때 내 집 마련을 한 40대들이 집값 상승으로 인해 자산 1억이 증가하였다는 소식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왜 유독 40대가 자산 증가를 많이 한 것에 대한 이유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0대 집값 상승으로 자산 1억 증가 1. 지난 3년간 자산 증가폭이 가장 큰 연령은 40대 우리니라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에 문재인 정부를 맞이한 사람들은 전체 연령에서 지난 3년 동안 자산 증가폭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무래도 집값 상승에 따른 그 수혜를 누린 것으로 해석이 되고 있습니다. 60대 이상 : 7,712만원 50대 : 8,720만 원 40대 : 1억 1,048만 원 30대 : 8,958만 원 20대 이하 : 2,234만 원 참고로 40대의 평균 자..

비즈니스경제 2022.06.11